- 머리말
- 저자 소개
- 이니스프리의 호숫가 오두막
- 시드 요정들의 행렬
- 영원한 목소리
- 순간의 흐름
- 에드가 마음속 장미를 노래하다
- 하늘의 무리
- 어부 브레설 산
- 자장가
- 황혼 속으로
- 방랑하는 앵거스의 노래
- 늙은 어머니의 노래
- 두니의 바이올린 연주자
- 여인의 마음
- 에드, 잃어버린 사랑을 애도하다
- 몽간, 자신과 사랑을 덮친 변화를 한탄하다
- 마이클 로바츠, 사랑하는 이에게 평온을 속삭이다
- 한라한, 물때새를 나무라다
- 마이클 로바츠, 잊힌 아름다움을 기억하다
- 연인이 된 시인
- 에드, 사랑하는 이에게 시를 바치다
- 두려워하지 말라, 내 마음아
- 어릿광대의 모자와 방울
- 검은 멧돼지의 계곡
- 마이클 로바츠, 변덕스러움에 용서를 구하다
- 에드, 연인들로 가득한 계곡을 이야기하다
- 에드, 완전한 아름다움을 노래하다
- 에드, 갈대의 울음소리를 듣다
- 에드, 사랑하는 이를 헐뜯은 자들을 생각하다
- 축복받은 자들
- 비밀의 장미
- 한라한, 방랑에 지쳐 슬퍼하다
- 열정의 고통
- 시인, 벗에게 옛 친구들을 잊지 말라 간청하다
- 한라한, 다가올 시대의 노래를 사랑하는 이들에게 말하다
- 에드, 원초적 힘들에게 간청하다
- 에드, 사랑하는 이가 죽기를 바라다
- 에드, 하늘의 옷을 바라다
- 몽간, 잊혀진 위대함을 떠올리다
- 예이츠 시인이 말하다 - 시적 상징 해설
- <시드 요정들의 행렬>
- <'에드', '한라한', '마이클 로바츠'에 대하여>
- <하늘의 무리>
- <자장가>
- <모자와 방울>
- <검은 멧돼지의 계곡>
- <비밀의 장미>
- 판권 페이지
갈대 사이로 부는 바람 시집, 예이츠 1923년 노벨 문학상
세계문학시리즈
1923년 노벨 문학상 수상
<갈대 사이로 부는 바람> '예이츠' 시인 대표 작품 시집
"모든 나라의 영혼을 표현하는 고도로 예술적인 형식을 지닌, 항상 영감이 충만한 그의 시를 인정하여 이 상을 드립니다."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W. B. Yeats)의 The Wind Among the Reeds (1899) 시집은 그의 초기 상징주의와 신비주의적 경향이 강하게 반영된 작품이다. 이 시집은 켈트 신화, 마법, 영적 탐구와 같은 주제를 중심으로 전개되며, 예이츠의 시 세계를 형성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된다.
1. 주요 주제 및 특징
(1) 신비주의와 상징주의
예이츠는 젊은 시절부터 신비주의와 초자연적인 요소에 깊은 관심을 가졌다. 이 시집에서 그는 켈트 신화와 전설, 영적 탐색을 시적 언어로 풀어낸다. 예를 들어, "The Hosting of the Sidhe"에서는 켈트 신화 속 요정들이 인간 세계를 침범하는 장면이 등장하며, 현실과 환상의 경계를 흐리게 만든다.
(2) 사랑과 이상화된 여성
이 시집에서 예이츠는 자신의 평생의 뮤즈였던 모드 곤(Maud Gonne)에 대한 사랑과 동경을 여러 작품을 통해 표현한다. 특히 "He Gives His Beloved Certain Rhymes" 같은 작품에서는 사랑하는 여인을 신비로운 존재로 이상화하며, 그녀에게 영원한 아름다움을 부여하려는 노력이 엿보인다.
(3) 자연과 신화의 결합
시집의 제목 The Wind Among the Reeds 자체가 자연과 신화적 요소의 융합을 상징한다. 바람(wind)은 변화와 신비를 의미하고, 갈대(reeds)는 유동적이지만 동시에 현실 세계와 연결된 존재로 해석될 수 있다. 예이츠는 이러한 자연 요소를 통해 자신의 신비주의적 탐구를 표현한다.
2. 대표적인 시 분석
(1) "The Hosting of the Sidhe"
켈트 신화 속 요정들이 인간 세계를 습격하는 모습을 묘사하며, 신비롭고 초현실적인 분위기를 조성한다. 반복적인 운율과 강한 이미지 사용을 통해 신화적 존재들이 현실에 침투하는 듯한 효과를 만든다.
(2) "He Hears the Cry of the Sedge"
자연 속에서 신비로운 소리를 듣고 내면의 깨달음을 얻는 과정 시인은 자연을 초월적 존재와 연결하는 매개체로 바라보며, 이를 통해 영적인 교감을 이루려 한다.
(3) "He Gives His Beloved Certain Rhymes"
시인은 시적 언어를 통해 사랑하는 이를 영원히 아름다운 존재로 남기려 한다. 로맨틱하면서도 신비로운 분위기가 있으며, 시의 힘을 통해 현실을 초월하려는 예이츠의 태도가 드러난다.
예이츠의 초기 시 세계를 형성하는 중요한 시집으로, 신비주의, 사랑, 자연, 신화 등의 요소가 조화롭게 결합된 작품이다. 이 시집을 통해 예이츠는 단순한 감정의 표현을 넘어서 초월적인 세계에 대한 탐구를 시도했으며, 이는 이후 그의 후기 작품들에서도 중요한 요소로 남게 된다.
이 시집을 읽을 때는 켈트 신화, 예이츠의 신비주의적 신념, 그리고 그의 사랑에 대한 이상화된 시선을 염두에 두면 더 깊은 이해가 가능하다.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W. B. Yeats, 1865~1939)는 아일랜드의 대표적인 시인이자 극작가이며, 20세기 모더니즘 문학의 거장이다. 예이츠는 켈트 신화와 아일랜드 민속 전통을 바탕으로 한 상징주의적 시 세계를 구축하였으며, 후기에는 보다 현실적이고 정치적인 주제를 다루었다.
그는 젊은 시절 신비주의와 초자연적 요소에 깊이 빠져들었고, 초기 작품에서는 신비롭고 낭만적인 분위기가 강하게 드러난다. The Wind Among the Reeds (1899)와 같은 시집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이후 현실주의와 모더니즘적 경향을 결합하여 The Tower (1928), The Winding Stair and Other Poems (1933) 등의 걸작을 발표하였다.
예이츠는 아일랜드 문예부흥 운동을 주도하며 아일랜드 극장(Abbey Theatre)을 설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의 문학은 아일랜드의 독립과 민족 정체성을 반영하며, 정치와 신화, 영적 탐구가 어우러진 독창적인 색채를 띤다.
1923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하였으며, 그의 시는 감각적 이미지와 상징을 통해 인간의 본질과 시대의 변화를 탐구하는 특징을 지닌다. "The Second Coming", "Sailing to Byzantium" 등의 작품은 20세기 문학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예이츠는 죽을 때까지 창작 활동을 멈추지 않았으며, 그의 문학은 현대시의 중요한 전환점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받는다.